<aside>
💡 [ 요약 ]
문제 상황 : 코드 리뷰는 좋지만 머지가 너무 늦게 되어 병목
이 생긴다.
결론 : PR을 우선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으로 TRY 해보자 !
해결 방안
- PR을 우선적으로 확인하기 / 작업 전 루틴으로 가져가기 → 효과 : 소통 비용을 줄일 수 있다
-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해당 루틴 수행 / 개인작업 우선순위가 높을 경우 개인 작업 먼저!
- 현재 올라온 코드 리뷰 코멘트 작성
- 리뷰 확인 및 반영 코멘트 작성
- 개인 작업 (리뷰 반영이나 기능 구현)
- 코멘트가 달릴 때마다 알림이 오는 것이 불편 → 파일 체인지에서 한번에 바꾼 후 리뷰 적용하기
- 리뷰를 확인했는지 알기 어려움 → 확인했을 때 바로 코멘트 달기
- 반영되었는지 알기 어려움 → 반영사항마다 커밋 메세지 작성
- 의견이 달라 코멘트가 새로 달린지 확인하기 어려움 → 파일 체인지에서 작성하여 보기 편하도록
- 근거 기반 코멘트 작성 - why? + 근거를 외부에서 찾기
- ex) 나는 {이런} 근거로 코드를 작성했는데, {그런} 근거로 반영하면 좋을 것 같아요!
</aside>
<aside>
💡 [ 리뷰 템플릿 수정 ]
- L3 → 제안
- ex) 이렇게 바꿔보는 건 어떨까요? 이렇게 해보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!
- L4 → 질문
- ex) 이건 어떤 기능인가요? 이 속성을 넣은 이유는 무엇인가요?
- L5 → 칭찬
- ex) 천재 만재 썬데이. 레전드 훅 분리 미쳤다 ㄷ ㄷ ㄷ ㄷ ㄷ ㄷ ㄷ
</aside>
문제 상황
- 코드리뷰를 너무 오래한다.
- 머지가 늦게 되어 기능 구현이 지연된다.
- 다른 기능 구현 시간이 부족하다.
- 코드리뷰 자체가 오래 걸린다.
- 코드 리뷰 알람이 별로임 → 리뷰어에게 discord 알람 기능이 있는지 찾아봄(포메)
- 반영이 된 건지를 모르겠음
- PR 올린사람이 resolve 하기 → 리뷰어가 하는게 좋을까?
- 해당 부분의 코드 체인지를 원했던 사람이 반영 사항을 확인하고 resolve를 하는 것이 좋지 않나 ?
- 어떤 부분에 다시 코멘트가 달린지 모르겠음
- 코드리뷰가 좋은지는 다 인지 → But, 머지가 늦게 될 경우 지연이 되는 문제
좋았던 점
- 마루
- 코드 리뷰를 하면서 서로의 코드를 이해하고, 소통 과정에서 학습이 이뤄진다고 생각한다.
- 리뷰를 받을 때도 검색해서 찾아보고, 리뷰를 할 때도 한번더 찾아보게 된다.
- 코드 작성의 의도를 설명하면서 알게 된다.
- 썬데이
- 맥락을 공유할 수 있어서 내가 짜지 않은 코드라도 이해할 수 있다.
- 질문을 잘 하기 위해서 학습, 대답을 들으며 재 학습이 이루어 진다.
- 제안을 하기 위해 나의 논리를 다듬고 외부에서 근거를 찾는다. 그 과정에서 학습하고 시야가 넓어진다.
- 다른 사람의 코드에서 왜 이렇게 작성했는가? 를 질문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시야가 넓어진다.
- 포메
- 맥락의 공유가 가능
- 서로의 코드에 대한 깊은 이해가 가능해진다.
해결 방법
포메: PR을 올리면 나머지 두 사람이 코멘트를 달았을 때, 두 명을 진실의 방으로 끌고 간다. 그리고 회의실에서 2명의 코멘트에 대해 모두 답변을 하며 모든 질문에 대해 변경 사항을 합의한다. (단, 규모가 있는 PR의 경우만)
썬데이
- 현재 올라온 코드 리뷰
- 리뷰 확인 및 반영 코멘트
- 개인 작업 (리뷰 반영이나 기능 구현)